피부미용개론
1. 피부미용의 개념
(1) 정의 :
얼굴 및 전신 피부를 물리적인 방법과 화학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의 생리적 기능을 높이고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여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아름답게 유지시키고 보호 및 개선하여 관리하는 것을 말한다.
* 두피를 제외한 전신의 피부를 청결하고 아름답게 가꾸어 건강하게 이를 유지, 개선시키는 과정
치료x , 치유x, 근육 골절 정상화x, 모발관리x
*미용사 영역
미용사 (피부) : 피부상태분석, 피부관리, 제모, 눈썹손질
(2) 세계 여러 나라의 피부미용 용어
① 독일 : kosmetik 코스메틱
② 프랑스 : esthetique 에스테띠끄
③ 영국 : cosmetic 코스메틱
④ 미국 : skin care 스킨케어, esthetic, aesthetic 에스테틱
⑤ 일본 : 에스티
⑥ 한국 : 피부관리, 피부미용, esthetic, skin care
*코스메틱: 그리스어 우주, 장식, 조화를 의미하는 코스모스에서 유래되었다.
*에스테틱: 프랑스어 미학의, 미의, 심미적인을 뜻하는 에스테띠끄에서 유래되었다.
얼굴과 신체피부의 기능 정상화와 유지를 의미한 전신미용술을 의미한다.
*에스테띠끄: 피부관리와 화장품을 구별하기 위해 사용
*에스테티션: 피부의 생리기능 회복과 유지를 위해 과학적 이론을 토대로 피부를 관리해주는 전문가인 피부미용관리사를 의미
*피부미용이란 용어는 독일 미학자 바움 가르덴에 의해 처음 사용
(3) 피부미용의 기능
ⓐ 관리적 : 피부 보호 및 문제개선 기능
ⓑ 심리적 기능
ⓒ 미적(장식적) 기능
2. 피부미용의 역사
(1) 서양
ⓐ 이집트
고대문명의 중심지인 이집트인들의 피부미용은 자연의 영향을 많이 받은 것이 대부분입니다.
이집트의 더운 기후로 인하여 피부손질을 하지 않으면 안되는 상황
그들은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양모, 왁스, 꿀, 우유, 아몬드 기름 등을 발라서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를 보호
또한 자갈흙, 미기울, 계란 노른자, 꿀, 우유 등을 혼합하여 얼굴에 발라 검게 탄 피부를 보호하고 열을 진정시켜주는 역할
청결을 중시하여 잦은 목욕을 하였고 그들만의 목욕법을 만들어 건강하고 아름다운 피부를 가꾸었다.
피부관리 방법 중 클레오파트라의 나귀 목욕법이나 어린이의 오줌 목욕법은 오늘날까지 알려질 정도로 유명하다.
< 이집트 요약 >
※ 종교의식을 중심으로 한 미용
※ 올리브 오일, 아몬드 오일, 양모왁스, 난황, 진흙 등 사용
ⓑ 그리스
헬레니즘 사상을 받아 건강한 정신이 신체에서 비롯된다는 믿음으로 목욕, 운동, 마사지 등 신체를 관리하였으며
목욕 문화가 발달하였다.
히포크라테스는 미용식, 일광욕, 특수 목욕, 마사지 등을 권장하였으며, 갈렌은 보습 및 피부 보호가 되는 콜드크림을 개발하였다.
이 시대에는 최상의 여인이나 남성만이 화장품을 사용할 수 있었다.
< 그리스 요약 >
※ 강한 신체를 중요시했으며 건강한 아름다움을 가꾸고자 천연향과 오일을 사용하는 마사지가 유행
※ 메이크업보다 깨끗한 피부를 가꾸는 데 중점을 둠
ⓒ 로마
내적인 아름다움과 외적인 아름다움을 중시
로마인들은 그들의 가치와 생활 습관 떄문에 향수, 오일 화장이 생활의 필수품으로 등장
로마의 의사 갈렌은 최초로 콜드크림의 시초인 시원해지는 연고를 만들었고 약학, 생리학, 해부학, 등의 저서도 남겼다.
로마인들은 그리스의 목욕 문화를 이어 받아 스팀 목욕법과 한증 목욕법이 개발되어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목욕 문화가 확립되었으며
미백의 피부를 유지하기 위해 레몬, 염소젖, 우유 등을 혼합하여 마사지를 하였고 아름다운 몸매를 유지하기 위한 전신 체조를 하였다.
로마는 남녀 상관없이 아름다운 피부와 몸매를 가꾸는 일에 과도하게 투자
< 로마 요약 >
※ 콜드크림의 원조인 연고가 만들어졌으며, 생활 필수품으로 향수, 오일 화장이 등장
※ 우유, 염소젖, 밀가루 등을 이용한 피부관리 성행, 공중목욕 문화 발달
ⓓ 중세시대
중세의 에스테틱 문화는 공중목욕탕이 생기면서 이제까지 특권층에서 해오던 목욕 문화가 서민층까지 전파
중세에는 끓는 물에 사루비아, 로즈메리, 보리수 꽃 등 여러 약초를 넣어 얼굴에 수증기를 쬐는 약초 스팀법이 개발
또한 화장품 제조에 필수성분인 알코올도 발명
중세의 학자들은 미용에 관련된 많은 책을 편찬하였는데 오늘날의 미용학 연구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 중세시대 요약 >
※ 기독교의 금욕주의 영향으로 화장 등의 미용행위가 억제되고 꺠끗한 피부관리에 중점을 둠
※ 피부에 수중기를 쐬는 약초 스팀법이 등장
ⓔ 르네상스
그리스 로마 문화를 지향하였으며 십자군의 귀향은 향장산업의 발전을 가져왔다.
이로 인해 정제된 화장수를 사용, 이는 알코올 증류법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현재의 화장수와 유사한 형태
이 시기에는 체취 제거를 위해 향수를 과도하게 사용하였으며, 몽테뉴의 저서에는 팩과 크림에 관한 처방이 기록되어 있다.
엘리자베스 여왕은 스스로 화장품을 제조하기도 하였다.
< 르네상스 요약 >
※ 과도한 치장과 분화장이 성행, 남녀가 모두 화장
※ 향수문화 발달
ⓕ 근세
19세기 위생과 청결의 중요성 떄문에 비누의 사용이 보편화되었으며 산업혁명으로 화장품의 기술 및 원료가 개발
또한 왕족의 전유물이었던 크림과 로션 등을 일반 시민이 만들어 사용하였고, 1866년 산화아연이 개발되어 백납분보다
안전한 분을 사용할 수 있었다. 또한 훗페란트는 마사지를 권장하였으며 세안크림을 제조하였다.
< 근세 요약 >
※ 화장품과 함께 비누 사용 보편화
※ 클렌징크림 개발
ⓖ 현대
20세기의 에스테틱 문화는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시대로 흘러갔다.
1901년 마사지 크림이 개발되었고,
1907년에는 샴푸가 생산되었으며,
1908년에는 손톱에 아름다움을 입혀주는 폴리쉬(에나멜)가 개발
1921년 폴란드의 화학자 퐁크에 의해 비타민이 발견되고 내분비 호르몬과 그의 자연현상이 과학적으로 발견되어
피부생리학에 밝은 앞날을 예고하였다.
20세기에는 화장품 산업이 대량화되고 급속하게 성장할 수 있는 계기가 된 사건은 1914년에 발발한 제1차 세계대전이다.
전쟁으로 인하여 향장산업이 군수산업으로 참여하게 되었고 본격적으로 대량생산화되는 기틀을 마련하였다.
그 후 각각의 헤어, 메이크업, 피부, 네일 등의 뷰티숍이 생겨났고 여성들은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관리와 서비스를 받을 수 있었다.
< 현대 요약 >
※ 화장품의 다양화와 대중화, 대량생산
※ 생화학, 생리학, 전기학 등 과학기술을 이용한 피부미용기술 발달
(2) 우리나라
ⓐ 상고시대 (고조선)
단군신화의 기록에 쑥과 마늘을 복욕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러한 쑥과 마늘에는 미백효과가 있다.
그리고 겨울에는 동상을 예방하며 미백효과를 가지고 있는 돼지기름(돈고)를 발라 피부를 보호하고 추위를 견뎠다.
또한 말갈인들은 오줌으로 세수를 하는 방법으로 미백에 관심을 두었다.
< 상고시대 (고조선) 요약 >
※ 단군신화에 쑥과 마늘을 복욕했다는 기록
※ 돼지기름으로 겨울철 피부보호
ⓑ 삼국시대 및 통일 신라
① 고구려
수산리 고분, 쌍영총 등 벽화 속의 여인들을 봤을 떄 신분과 빈부의 차별 없이 치장하였으나
계급과 신분에 따라 달리 치장하였음을 짐작할 수 있다.
② 백제
일본문헌에 "백제로부터 화장품 제조기술과 화장법을 배웠다"라는 기록으로 미루어 보았을 때
우리는 진보된 화장 기술을 보유하고 이었음을 추측할 수 있으며, 중국문헌에는 백제인들이 시분무주 형태의
은은한 화장을 하였다고 기록되어있다.
③ 신라
불교가 성장하여 향낭을 차고 다니고 목욕이 대중화되었으며 백분의 사용과 제조기술이 상당했다.
또한 화장용구의 개발이 활발했다.
④ 통일신라
당과의 교류가 활발하여 사치품, 귀중품을 많이 사용하였으며 색조화장이 짙고 화려했다.
또한 화장용구가 다양했다.
<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 요약 >
※ 백분의 제조기술이 발달
※ 불교의 영향으로 향문화와 목욕문화 발달
ⓒ 고려시대
청결 관념이 강조되어 목욕이 성행하였다. 부유층에서는 복숭아 꽃물을 우려내어 세수를 하였으며 난초를 넣어 삶은 물에
목욕을 하여 향내가 나도록 하였다. 또한 면약이라는 액상타입의 안면용 화장품을 피부 보호제 겸 미백제로
사용하였다. 고려도경에서는 백제와 비슷한 시분무주 형태의 화장을 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 고려시대 요약 >
면약의 개발 : 피부보호 및 미백효과
ⓓ 조선시대
억불숭유정책 및 사치금지령으로 고려시대보다는 검소한 형태의 치장을 하였다.
선조 떄에는 화장품이 제조되고 판매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숙종 때에는 판매용 화장품이 제조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청결을 중요시하여 목욕을 하였으며 부유층에는 난탕, 삼탕, 창포탕, 마늘탕, 쌀겨탕을 이용하였고
서민층에서는 갯가나 냇물에서 목욕을 하였다. 그리고 맑은 피부를 선호하여 미안수를 바르거나 오이나 꿀 등으로 요즘의 팩과 같은 미안법을 해앟기도 하였다.
< 조선시대 요약 >
※ 목욕을 즐김
※ '규합총서'에 두발 형태와 화장법 등에 관한 내용 소개
※전통 화장술이 완성된 시기
※혼례 미용법 발달
ⓔ 개화기 이후
개화 초에는 일본과 중국에서 수입화장품이 들어오기 시작했다.
1915년 우리나라 최초의 화장품인 박가분이 제조 및 판매
1922년에는 머릿기름, 미백로션, 연향유 등이 개발
1930년 서가분이 출시
1945년에는 콜드크림, 바니싱 크림, 씨포마드 등이 제조
1950년에는 화장수가 개발되었으며 미백용 팩, 기름, 면약 등이 개발되고 각종 깨와 미곡, 살구씨 등이 미백제로 사용
1960년 이후로는 화장품 산업이 본격적으로 발전하여 기초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화
1980 ~ 1990년대에는 색조화장품과 기능성 화장품이 출시
< 근대 요약 >
※ '박가분'의 판매와 다양한 화장품 유입
< 현대 요약 >
※ 1960년대 이후 본격적인 화장품 산업의 발전
※ 1980년대 이후 색조 및 기능성 화장품 출시와 함께 화장품 산업의 확대
감사합니다~!
'미용사(피부) > 미용사(피부) 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미용사 ( 피부 ) 자격증 ] 필기 1과목 피부미용이론 - 습포 (0) | 2022.05.19 |
---|---|
[ 미용사 ( 피부 ) 자격증 ] 필기 1과목 피부미용이론 - 클렌징 (0) | 2022.05.19 |
[ 미용사 ( 피부 ) 자격증 ] 필기 1과목 피부미용이론 - 피부상태 분석 (0) | 2022.05.19 |
[ 미용사 ( 피부 ) 자격증 ] 필기 1과목 피부미용이론 - 피부유형 분석 (0) | 2022.05.19 |
[ 미용사 ( 피부 ) 자격증 ] 필기 1과목 피부미용이론 - 상담 (0) | 2022.05.16 |